Showing posts with label 클래식. Show all posts
Showing posts with label 클래식. Show all posts

Friday, November 28, 2014

<영화 & 클래식> 바흐 이전의 침묵

source: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lsi16&logNo=40178868523&categoryNo=0&parentCategoryNo=11&viewDate=&currentPage=2&postListTopCurrentPage=1&userTopListOpen=true&userTopListCount=10&userTopListManageOpen=false&userTopListCurrentPage=2

<영화 & 클래식> 바흐 이전의 침묵  음악이 주는 충만 
2013/01/28 17:22
전용뷰어 보기
"바흐가 없었다면 신은 권위를 잃었을 것이다. 바흐가 있기게 세계는 실패작이 아닐 수 있었다. 바흐 이전에도 세계는 존재했다. 그러나 아무 울림없는 텅빈 공간이었을 뿐이다." - 시오랑

 

영화는 정적이 흐르는 하얀 벽으로 시작해서 연주자 없이 스스로 움직이는 피아노가 바흐의 골드베르크 변주곡 아리아를 치고 있는 장면을 한참 보여준다. 이 첫장면은 영화 제목과 바흐의 음악사적 의미를 상징한다. 하얀 벽과 정적은 바흐 이전의 세상이며, 바흐 음악을 통해 비로서 그 침묵이 깨진다. 이는 영화 중간에 나오는 악기상과 서점 주인의 대화에 나오는 시오랑의 말과 연결된다.
 
 


영화는 현대와 바로크 시대, 멘델스존 시대를 오가며 다양한 장면이 등장한다. 라이프치히에서의 바흐, 성토마스 교회의 안내원, 하모니카로 바흐를 연주하는 트럭기사, 의식 전 몸을 씻듯 샤워후 바흐를 연주하는 첼리스트, 폭우 속에서의 바순으로 연주되는 바흐, 지하철에서의 무반주 첼로 모음곡, 악기점에서 수십대의 피아노 연주, 합창단의 합창 장면 등등...  짧은 에피소드간에 연관성이나 극적인 스토리는 거의 존재하지 않는다. 오직 바흐의 음악만이 공통성을 부여한다. 어떤 극적인 스토리도 바흐의 음악을 능가할 수 없으며, 오직 음악만으로 바흐를 표현하려는 감독의 의도가 아닌가 생각된다.

또한 바로크 시대의 오르간이나 하프시코드(피아노의 전신)로 연주되는 바흐를 감상할 수 있는 기쁨을 준다. 

영화에서 가장 극적인 부분은 멘델스존의 하인이 시장 푸줏간에서 싸온 고기를 싼 포장지에서 바흐의 마태수난곡이 발견된다는 점이다. 마태수난곡은 예수님의 마지막 수난기를 표현한 곡이다. 시장에서의 발견은 예수님과 세상이 바흐를 통해 연결됨을 상징한다. 또한 포장지의 붉은 피는 주의 보혈을 의미한다. 


드레스덴 지하철에서 수십명이 바흐의 무반주첼로 모음곡을 연주하는 장면도 인상 깊다. 드레스덴은 2차 대전 당시 폭격으로 도시 대부분이 폐허가 된다. 지하는 죽은 자의 공간이다. 레퀴엠으로 사용된 듯하며, 첼로의 깊은 맛으로 당시 죽은 자들에 대한 원혼을 위로한다.


고서점에서 두 노인이 '다른 세계의 음악'이란 책에 대해 이야기한다. 다른 세계는 아우슈비츠이다. 이 책은 홀로코스트 당시 음악이 많은 사람들에게 절망을 주었음을 말한다. 다음 장면에서 피아노가 바다에 빠진다. '피아니스트'라는 영화에서는 홀로코스트 상황에서 쇼팽의 발라드를 통해 주인공이 삶을 얻는다. 음악은 구원이 되기도, 절망이 되기도 한다.


 
이 영화에서는 오직 바흐의 음악만이 등장한다. 수많은 에피소드들은 바흐를 보여주기 위한 소도구들이다. 또한 우리의 일상 속에서 음악과 바흐의 의미를 보여주고자 한다.

<영화에 나오는 바흐 명곡>
골드베르크 변주곡
영화에서 라이프치히 관광 유람선에서 큰 성을 지나면서 이 곡의 탄생 배경을 설명한다. 카이저 링크 백작은 불면증에 시달리는데 바흐 제자인 골드베르크가 백작의 편안한 밤을 위해 바흐에게 의뢰해 만들어진 곡이라는 것이다. 2분 남짓한 총 30개의 피아노 곡이다. 처음 피아노 혼자 연주하는 곡이 1번 아리아, 바흐가 카피스트 앞에서 빠르게연주하는 곡이 23번, 악기점에서 수십대의 피아노가 함께 연주하는 곡 경쾌하고 서정적인 7번, 말이 빠른 선율에 맞춰 움직이는 스텝이 음악과 절묘하게 일치하는 곡이 28번이다. 이 곡은 글렌굴드의 연주가 최고로 꼽힌다. 실제 들어보면 수면용 음악이 맞는지 의심이 들 정도로 빠른 템포가 많다. 계속 듣다보면 지루해서 졸린다.^^ 다음은 글렌굴드의 연주이다. 무의미해보이는 선율의 반복은 우리의 일상을 말하는 것이 아닌가 생각된다.


첼로 무반주 모음곡
우리나라 사람들이 가장 좋아하는 클래식으로 선정된 바 있다. 앞서 소개한 포스팅인 '뮤직 오브 하트', '더 콘스트'에도 등장하며, 수많은 드라마에도 나온다. 13세의 카잘스에 의해 스페인 고서점에서 200년 만에 발견되어 12년 간의 노력 후에 세상에 처음 선을 보인다. 그 후 카잘스에 의해 녹음된 음반은 많은 평론가들 사이에서 20세기 최고의 명반으로 손꼽힌다. 모노 SP 음반을 LP로 복각한 음반으로 최근 음반에 비해 깔끔하지는 않으나 평생 이 곡에 전념한 카잘스의 혼이 느껴지는 불후의 명곡이다.


평균율 클라비아 곡집
바흐가 남긴 최대의 음악 유산으로 흔히 '인류 음악이 모두 소멸되어도 이 곡만 있으면 다시 살려낼 수 있다.'는 말로 이 작품의 위대함을 표현한다. 건반 음악의 구약 성서라고도 평해지며' 교육용으로 화성학과 대위법의 교본으로 쓰인다. 24곡의 프렐류드(전주곡 : 소개를 위한 자유로운 즉흥 양식의 짧은 곡)로 구성되어 있으며, 영화에서 바흐는 아들에게 1번을 가르치면서 다음과 같이 말한다. "네가 거짓이 없을 때 음악도 거짓이 없고 충만해진다."라고 이야기한다.



환상곡과 푸가 g 단조
영화의 끝머리에 또다시 자동 피아노가 등장한다. 이번에 연주하는 곡은 [환상곡과 푸가] g단조인데, 화면은 빠른 속도로 돌아가는 자동 피아노 악보를 자세하게 보여준다. 흰 종이에 구멍이 숭숭 뚫려 있는 악보의 모양은 놀랍게도 바흐 음악의 특징을 그대로 보여준다. 일정한 패턴으로 흘러가는 음악처럼 종이 위에 뚫려 있는 구멍들 역시 일정한 패턴의 무늬를 이룬다. 일정한 패턴의 반복, 같은 음형으로 상승했다가 하강하는 소리의 굴곡을 종이 위의 구멍들이 그대로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네이버 지식 백과에서 진희숙의 글을 인용

<영화 & 클래식> - 클래식을 소재로 한 영화

source: http://blog.naver.com/PostThumbnailList.nhn?blogId=lsi16&from=postList&categoryNo=11

<영화 & 클래식> 글렌굴드에 관한 32개의 이야기 (4)
<영화 & 클래식> 바흐 이전의 침묵 (4)
<영화 & 클래식> 클라라 - 슈만의 사랑, 브람스의 고독함 (11)
<영화 & 클래식>뮤직 오브 하트 - 바흐의 두대의 바이올린과 오케스트라를 위한 협주곡 (13)
<영화 & 클래식> 레드바이올린 (12)
<영화 & 클래식> 바이올린 플레이어 - 바흐의 샤콘느(BWV1004) (5)
<영화 & 클래식> 더 콘서트 - 챠이코프스키 바이올린협주곡 (12)
<영화 & 클래식> 샤인 - 라흐마니노프의 피아노 협주곡 3번 (3)
<영화& 클래식> 설국열차 - 바흐의 골드베르크변주곡 (10)

Tuesday, October 28, 2014

브람스

<브람스>

현악사중주 2번 1악장
현악6중주 1번 <<
피아노 오중주 3악장
연탄곡 = Four hands performance
연탄곡 - 왈츠곡집 15번

파가니니 주제에 의한 광시곡 18번
독일 레퀴엠
현악사중주 1번 절규
현악사중주 2번
현악사중주 3번 전원 변주곡
교향곡 1번 4악장
브람스 바이올린 협주곡 : 요하임에게 바친 곡
 - 바이올린 협주곡 1악장 카덴차
헝그리 무곡 연탄 1번
헝그리 무곡 5번
바이올린 소나타 1번 "비의 노래" 1악장

차이코프스키

<차이코프스키 곡 >

차이코프스키 교향곡 4번 1악장
차이코프스키 교향곡 4번 4악장
차이코프스키 교향곡 6번 비창
1812년 서곡
잠자는 숲속의 공주(미녀)
호두까기 인형 - 사탕요정의 춤
현악사중주 1번
현악사중주 4번 - 파리에서의 눈물

Sunday, August 31, 2014

바흐 관현악 모음곡 2번 B단조 BWV 1067

출처(뚜기네) :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othugi&logNo=70179873114

바흐 관현악 모음곡 2번 B단조 BWV 1067  바흐 / 고전음악 이야기
2013/11/24 20:18
바흐 관현악 모음곡 2번 B단조 BWV 1067


모음곡이란 말은 참 쉽습니다. 
곡들을 모았으니까 모음곡인거겠죠. 그래서 독주 악기를 위한 것이건(무반주 첼로 모음곡), 실내악단을 위한 것이건(관현악 모음곡) 다 모음곡이라 부릅니다. 바흐는 이 모음곡을 참 좋아했는데 그럼에도 오케스트라를 위한 것으로는 1,100여곡이 넘는 작품들 가운데 딱 4곡만 만들었습니다.

과거 이 <관현악 모음곡>이 쾨텐시대, 즉 바흐의 음악 생애의 중간쯤 해당하는 지점(1717~1723)에서 이 작품들이 태어났다고 보았습니다. 요즘 들어선 그렇지 않다고 보는 견해가 많군요. 적어도 2번과 3번은 라이프치히 시대인 1730년대의 소산물로 보는 것이지요. 바흐 후기의 불꽃같은 시절이었던 그 라이프치히 시대 - 거기에는 콜레기움 무지쿰이란 단체가 있었고 물론 바흐가 맡았던 오케스트라였습니다. 학생들도 많이 참여한 이 악단의 실습에 <관현악 모음곡> 같은 작품은 딱 어울리는 것이었습니다.

그런데 잠시 줄기를 벗어난 것 같지만, 이런 질문을 해 봅니다.
2번과 3번이 라이프치히 시대고 1번과 4번이 그보다 앞선 쾨텐 시대라면, 작품번호가 좀 뒤섞인 것 같지 않나요? 막 섞였죠. 맞습니다. 이 BWV 라고 부르는 작품번호가 범인이네요. 볼프강 슈미더가 1950년에 만든 작품번호 목록은 이제 하나의 기준이 된 상황이고, 그가 카테고리 별로 정리하는 바람에 작곡연도는 곡의 번호와 따로 놀게 되었습니다. 무슨 말인가 하면, 오르간 곡이면 오르간곡 끼리, 칸타타면 칸타타 끼리 묶입니다. 나중에 쓴 칸타타곡이 초기에 쓴 협주곡 보다 작품 번호가 빠른 진풍경이 연출되었지요. 같은 카테고리 안에서도 혼란은 있습니다. 이 <관현악 모음곡> 처럼. 

바흐의 문장. 라이프치히 시대에 쓰였으며 J와 B가 디자인되었음.

<관현악 모음곡>의 맏형으로는 '서곡'이 있습니다. 참고로 이 서곡은 베르디 오페라 시작할 무렵 나오는 서곡과는 좀 다릅니다. 
이 서곡의 유래를 더듬으니 프랑스 발레가 나오는군요. 17세기 프랑스에선 발레나 오페라 등의 첫 도입부에 서곡이 쓰였습니다. 작곡가로서 륄리가 그 대표 주자죠. 그러니까 18세기 초엽 바흐가 중견 음악가로 활동이 활발하던 무렵 서곡은 더욱 풍성하게 발전했고, 바흐 등 독일 작곡가들은 일정 부분 그 형식적인 면에서 륄리에게 빚을 졌습니다. 결국 이 서곡의 다른 이름은 '프랑스풍 서곡'이 되어 버렸습니다.

긴 서곡이 끝나면 이제 다채로운 춤곡들이 선을 보일 차례입니다. <관현악 모음곡 2번>의 구성은 이렇게 됩니다.
(프랑스 풍) 서곡 - 론도 - 사라방드 - 부레 - 폴로네이즈 - 두블 - 미뉴엣 - 바디네리
악기 구성이라야 원래 단촐하죠. 플루트와 현악기 몇개 그리고 콘티누오면 족합니다. 여기 2번에서는 그냥 플루트가 갑입니다. 전편을 통하여 주도권을 행사하지요. 

지명도가 특히 높은 두 춤곡을 골라 봅니다. 먼저 사라방드. 16세기 스페인이 고향이네요. 고향에서는 빠르고 활달한 성격이었을 겁니다. 하지만 바흐의 독일로 넘어와서는 좀 더 무게감 있는 춤이 되었습니다. 중간 정도의 빠르기를 유지하면서 조금쯤 신비한 느낌도 주는군요. 한편 폴로네이즈는 독특한 선율로 이 모음곡에서 가장 사랑받곤 하지요. 폴란드 출신입니다. 

이쯤 해서 짐작이 갈 것입니다. 바흐의 모음곡에 있는 춤곡들이란 진짜 춤을 추기 위한 곡은 아니란 것을. 그렇지만 또한 분명한 사실 하나는 이 곡들의 원형이 춤곡이어서 그 유전자 까지 부정할 수는 없다는 것을. 언젠가 여기서 <무반주 첼로 모음곡>을 다루겠지만, 도대체 춤하곤 아무 상관없을 것 같은 무반주 첼로곡 조차 '춤' 이 느껴질 때가 있거든요.

◆◇ 당대의 악기, 당대의 해석을 중시하는 네덜란드 지휘자 톤 쿠프만이 있습니다.

기대를 저버리지 않고 거의 완전무결에 가까운 <관현악 모음곡> 해석을 들려 주는군요. 오케스트라는 그가 세운 암스테르담 바로크 오케스트라, 그리고 플루트(정확히 플라우토 트라베르소라 부르는 옛 플루트) 주자는 윌버트 하젤체트, 바로크 첼로에 얍 테어 린덴입니다. 쿠프만 자신이 일급 하프시코드 주자인 만큼 또 옛 방식이 그러니까 하프시코드를 연주하면서 지휘를 합니다. 그의 음악 동료들 자체가 유럽에서 몇 손가락에 꼽히는 자기 분야의 달인들이니 만족할 밖에요.
비브라토가 상당 부분 사라진 담백하고 정갈한, 마치 우리 옛 손맛 같은 바흐의 춤곡들. 춤추고 싶을 만큼 즐겁습니다. 




바하의 관현악 모음곡은 4곡이 남아있고, 어느 것이나 쾨텐 시대의 작품이며
레오폴드 공의 관현악단의 연주를 목적으로 하고 있다.
당시 모음곡의 표준구성은  서곡 또는 전주곡에 알라망드, 사라방드 등
몇곡의 춤곡 또는 '관현악 모음곡 3번'처럼 아리아를 도입한 것이다.

악상도 악기편성도 4곡이 모두 다르지만
당시의 귀족문화가 이상으로 삼았던 우아한 아름다움을 추구한 점에는 틀림없다.

제2번은 플루트를 중심으로 하고 바이올린 2부, 비올라, 콘티누오에 의한 편성이며
마치 플루트 협주곡처럼 이 악기의 화려한 연주효과를 발휘한 명곡으로 알려져 있다.

관현악 모음곡 2번은 서곡과 6곡의 춤곡으로 구성되어 있다.




1. Overture - Grave 4/4  7'20"
느림-빠름-느림의 프랑스풍 서곡
제1부는 장중하고 전아한 발상으로 플루트와 현악기의 대비가 멋지다.
이어지는 알레그로의 중간부에서는 활기찬 대화를 들을 수 있다.
그라베 부분과 알레그로 이하의 부분이 각각 반복되고 끝이 난다.

2. Rondeau - Allegro 2/2  1'49"

론도는 본래 프랑스에서 발생한 옛 가창 형식이며 후에 기악 형식으로 발전하였다.
플루트와 바이올린의 유니즌에 의한 경쾌한 주제가 부주제를 끼고 3회 반복된다.

3. Sarabande - Andante 3/4  3'08"
사라방드는 스페인의 옛 무곡이며, 느린 3박자의 악상이 특징이다.
아리아를 연상케하는 두도막 형식의 주제가 되고, 느긋하게 카논풍으로 모방되어 간다.

4. Bourees I & II - Allegro 2/2  1'49"
부레는 17~18세기의 프랑스 무곡인데 2박자의 악상으로 센박으로부터 시작된다.
두개의 부레가 곡을 구성하고 있고 플루트 독주에 의한 사랑스런 취향의 악상이다.

5. Polonaise - Moderato 3/4  3'02"
폴로네즈는 그 이름이 가리키듯 폴란드의 옛 춤곡인데 3박의 리듬이 특징이다.
중세말에 귀족사회에 도입된 후 궁정무도회에 빠질 수 없게 되었다.
다소 우수를 함축한 주제가 매우 아름다우며,
주제의 전반은 플루트와 바이올린이 제시하고 후반부는 플루트가 화려하게 장식한다.

6. Menuet - Allegretto 3/4  1'23"
미뉴엣은 프랑스의 무곡으로 중간부의 트리오를 끼고 세도막 형식으로 구성되지만
이 미뉴엣에서는 트리오가 생략되어 있다. 주제는 간소하고 옛스런 취향이다.

7. Badinerie - 2/4  1'27"
플루트가 경쾌하고 발랄한 악상을 전개하고
저음부가 이 악상을 모방해서 움직이며 대조를 이루어 즐거운 기분을 자아낸다.

Saturday, June 21, 2014

클래식 음악 영화

클래식 음악 감상 및 설명 :   http://jsksoft.tistory.com/9398

클래식 음악 관련 영화